리액트 상태관리 히스토리

- 2014: Flux
- 2015: Redux
- 2016: MobX
- 2018: React.Context
- 2019: React Query, SWR, Zustand(flux 비슷), xState
- 2020: Jotai(atom), Recoil(atom), Valtio(proxy)
- 2021: useSelectedContext
Mobx
- Mobx는 Redux와 비교했을때 러닝커브는 낮음
- 보일러플레이트 코드가 거의 없어서 진입 장벽이 낮음
- side effect 제어를 위한 별도의 툴(redux-saga 같은..)이 필요하지 않습니다
- 단, 아키텍쳐 구성이 자유로워서 잘못 구현될 경우 유지보수가 어려움
React.Context

- 여러 수준의 중첩 된 컴포넌트간에 props로 값을 전달해야 하는 문제(prop-drilling)를 해결
- React Context 자체는 상태 관리 도구가 아닙니다 . 그러나
useReducer
와 같은 hook과 함께 사용하여 상태 관리 도구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.